휴맥스네트웍스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독자 귀중
도입(Introduction and Objective of Work)
검증전문기관인 비영리조직 ESG혁신네트워크(이하 ‘검증인’)는 ㈜휴맥스네트웍스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이하 ‘보고서’)에 대한 제3자 검증을 수행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검증인의 검증 목적은 공시 정보의 정확성, 신뢰성 및 객관성을 확인하고, 보고서가 조직 및 이해관계자에게 중요한 이슈를 다루고 있음을 보증하는 것입니다. 보고서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주장에 대한 책임은 보고서를 작성한 휴맥스네트웍스에게 있습니다. 검증인은 보고서의 작성 과정에 개입하지 않았으며, 보고서에 대한 검증의견서에 대해서만 책임이 있습니다.
검증기준(Assurance Standard)
보고서에 대한 검증은 검증표준인 AccountAbility가 발간한 AA1000AS v3에 따라 수행하였습니다. 포괄성, 중요성, 대응성, 영향성 등 4대 원칙의 적용, 정보 수집 절차 및 시스템의 견고성, 공시 정보의 신뢰성 및 품질 등을 평가하는 Type 2와 제한적으로 수집된 근거를 바탕으로 수행하는 중간수준(Moderate Level)을 적용하였습니다. 또한 검증 과정에서 보고서 관련 국제표준인 GRI Standards(2021)와 사회적 책임 지침인 ISO 26000을 이용하였습니다.
검증범위(Assurance Scope)
검증인은 독립된 검증기관으로서 검증표준의 절차 및 지침을 엄격히 준수 했습니다. 검증 범위는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의 보고 기간에 포함된 정보와 데이터에 한정되었으며, 다음의 확인사항이 포함되었습니다.
・ 정보 수집, 분석, 검토를 위한 프로세스와 경영시스템의 견고성
・ 공시 정보의 신뢰성 및 품질
・ 검증표준의 4대 원칙인 포괄성(Inclusivity), 중요성(Materiality), 대응성(Responsiveness), 영향성(Impact)의 적용 여부
・ 보고표준 GRI Standards(2021) 참조 여부
검증방법(Methodology)
검증인은 검토할 자료, 활동, 산출물, 일정 등을 문서화하는 등 체계적인 검증 계획을 수립하고 검증을 수행하였습니다. 검증인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의견과 관련한 결론을 도출하였습니다.
・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해관계자 관심의 대상이 되는 지속가능성 이슈 검토
・ 보고 이슈 선정을 위한 중요 이슈 결정 프로세스 검토
・ 지속가능성 데이터 작성 및 도출 프로세스 검토
・ 보고서의 핵심 주장을 뒷받침하는 내부 문서 및 기초 자료 검토
・ 영역별 성과 데이터 담당자 현장 인터뷰 및 관련 경영시스템 검토
・ 보고서 내에 기술된 내용의 적합성과 표현상의 오류 점검
검증결과(Our Findings)
수행한 절차와 입수한 검증 정보를 기반으로, 모든 중요 이슈와 관련하여 공정하게(Fairly) 표현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게 하는 어떠한 사항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검증인의 상세한 검증 의견은 아래와 같습니다.
・ 첫째, 검증인은 샘플링 기법을 통해 데이터 수집 및 가공 프로세스, 근거 문서 및 기록을 확인하여, 지속가능성 관련 공시 정보에 대한 신뢰성 및 품질 검증을 실시하였습니다. 검증인은 보고 조직이 데이터 및 정보의 수집, 축적, 분석, 검토를 위한 적절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또한 검증인은 보고서에 기술된 정보와 데이터가 신뢰할 수 있으며, 중대한 오류나 편견이 없다고 판단합니다. 검증 과정 중 발견된 오류나 명확하지 않은 표현들은 최종 보고서 발간 전에 수정되었습니다.
・ 둘째, 검증인은 보고서가 검증표준의 포괄성 원칙을 적절하게 적용했다고 판단합니다. 포괄성(Inclusivity)이란 조직의 핵심 이해관계자를 식별하여 중요 이슈 결정 및 대응 과정에 참여시키는 것입니다. 휴맥스네트웍스는 임직원, 고객, 주주 및 투자자, 협력사, 지역사회 등 핵심 이해관계자를 식별하고, 이해관계자 참여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운영하였습니다.
・ 셋째, 검증인은 보고서가 검증표준의 중요성 원칙을 적절하게 적용했다고 판단합니다. 중요성(Materiality)이란 조직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가장 중요한 지속가능성 이슈를 식별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휴맥스네트웍스는 조직에 대한 영향(Financial Materiality)과 환경·사회적 영향(Impact Materiality)을 모두 고려하는 이중 중요성 평가(Double Materiality Assessment)를 실시하여 윤리/반부패 경영활동 강화, 기후 변화 대응 노력, 사업장 안전 및 건강 관리, 다양성 존중 및 차별 금지 등 중요 이슈를 도출하였습니다.
・ 넷째, 검증인은 보고서가 검증표준의 대응성 원칙을 적절하게 적용했다고 판단합니다. 대응성(Responsiveness)이란 지속가능성 중요 이슈에 대해 조직이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입니다. 휴맥스네트웍스는 도출한 중요 이슈를 조직의 전략과 운영에 적절히 반영하고,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였습니다.
・ 다섯째, 검증인은 보고서가 검증표준의 영향성 원칙을 적절하게 적용했다고 판단합니다. 영향성(Impact)이란 조직의 활동과 성과가 조직 자신과 사회에 미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휴맥스네트웍스는 이러한 영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평가하고 있으며, 이슈별로 결정된 영향을 보고서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였습니다.
・ 여섯째, 검증인은 보고서가 GRI Standards(2021)의 보고원칙, 필수 공시항목, GRI Content Index 작성 등에 대한 요구사항을 준수하고 있으며, GRI Standards(2021)를 참조하여 작성되었다고 판단합니다.
권고사항(Key Areas for Ongoing Development)
검증인의 검증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음의 권고사항을 제시합니다. 지역사회 공헌활동을 보다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추진할 것과 조직의 지속가능성 계획과 성과를 점검하고 논의하는 ESG위원회 운영을 보다 강화할 것을 권장합니다.
독립성 및 적격성(Statement of Independence, Impartiality and Competence)
검증인은 독립적으로 검증을 수행하였습니다. 검증인은 제3자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 이외에 보고 조직과 어떠한 비즈니스 관계도 맺고 있지 않으며, 어떠한 이해상충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검증인은 문서화된 방침과 절차를 포함한 포괄적인 검증 활동 품질관리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검증인은 지속가능성, CSR, ESG 경영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축적하였고, 검증표준방법론에 대한 이해가 탁월한 팀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